2024년 방학/팀스파르타 백엔드 개발 부트캠프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jwt + spring security 1. 서버는 header로 jwt 정보를 전달. 클라이언트는 header에 해당 정보를 계속 서버로 보냄으로써 인증받은 것을 확인시킨다 2. 세션 로그인과 토큰 로그인 -서버에 데이터 요청하기 (토큰이 어떻게 사용되는가) : 서버가 입장권을 확인 후, DB를 조회해가지고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를 API에 적혀있는대로 데이터를 건네줌. 세션방식,db를 이용. 비용이 많이 듦(네트워크비용)레디스는 인메모리 방식이라 부하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. JWT방식, token방식아이디,로그인날짜,유효기간이 다 적혀있음. 서버에서 인증과 인가를 처리함으로 DB를 조회하지 않아도 됨. 3. Security 를 제어할 설정 클래스 (WebSecurityConfig) 생성 >>> @.. 도커 세션 docker build -t hello-docker . >> 도커 이미지 생성 docker run -d -p 8080:8080 hello-docker >>> 도커 실행 *로컬에서 개발 하고, 다 하면 마지막에 도커 올리면 됨. (하나 하나 도커 빌드 하는거는 시간 많이 걸리니까) 이전 1 다음